모바일 앱을 광고함에 있어, 정말 엄청나게 많은 플랫폼들이 존재합니다. 그 중에서도 Apple Search Ads 라는 플랫폼은 iOS 사용자를 상대로 서비스하고 있다면 한번쯤 고민해보아야 할 플랫폼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Apple Search Ads, 줄여서 ASA로 불리는 이것은 무엇일까요?
ASA는 2016년에 apple에서 직접 런칭한 서비스로, 아이폰과 아이패드의 앱스토어에서 검색시 결과 최상단에 노출되는 광고입니다.
이렇게 보시는 이미지 1처럼 '브롤스타즈'라는 게임을 검색했을 때, '궁수의 전설'이라는 게임이 결과 최상단에 뜨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이런 ASA의 광고 형태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텍스트만 노출되는 형태이고, 다른 하나는 크리에이티브가 노출되는 형태입니다. 이는 보시는 것처럼 화면상에서 노출되는 크기도 다르고, 노출되는 정보도 다르기 때문에 광고 형태를 고민해보아합니다.
그렇다면 왜 ASA를 사용해야할까요?
- ASA의 Conversion Rate는 50%정도로 다른 애드 네트워크와 비교하면 실로 엄청난 수준입니다.
그 이유는 간단합니다. 앱스토어에 접속하여 검색을 하는 유저들은 애초에 앱을 다운로드할 목적의식이 강한 사람들이기 때문입니다. 만일 지도 앱을 찾고 있는 사람이 검색창에 지도를 검색했을 때, 대부분은 많아야 3개~5개 앱을 대충 훑고 다시 처음 노출되는 화면으로 돌아올 것입니다. 그러고는 최상단에 노출된 앱을 선택할 가능성이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이는 특정 앱을 필요로 하는 검색이 아닐 때 더욱 두드러집니다.
- 앱스토어의 다운로드의 약 65%는 검색으로부터 이뤄집니다.
앱스토어의 메인 페이지는 피쳐드된 앱들이 배치되어있습니다. 거기서 눈에 띄는 앱이 없다면 우리는 자연스럽게 검색창을 눌러 검색을 하게 될 것입니다. 너무나 당연하게도 앱스토어에 접속한 사람들은 검색 기능을 사용하게 됩니다.
- 약 50%의 유저는 특정 앱 이름을 검색합니다.
이는 후에 다시 다루겠지만 ASA에서는 특정 앱을 검색했을 때 광고로 배치되는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위에 예시로 보여드렸던 '궁수의 전설'처럼, '브롤스타즈'를 검색했음에도 최상단에 궁수의 전설이 배치되기 때문에 경쟁사의 유저를 유입시킬 수 있습니다.
- ASA는 애플에서 독점적으로 서비스하기 때문에 사실상 허수(fraud)가 0%에 가깝습니다.
이른바 SANS라 불리우는 애드 네트워크들 중에서도 플랫폼 독점 광고는 거의 ASA가 유일하기 때문에 허수에 대한 고민을 접어둘 수 있습니다.
- ASA를 통해 유입된 유저의 리텐션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ASA로 유입된 유저는 일반 유저보다 해당 앱을 사용해야겠다는 의지가 강합니다. 그렇다 보니, 리텐션 중앙값이 +33%정도로 탑티어 애드 네트워크 보다 높습니다. 물론 오가닉으로 유입된 유저보다는 낮습니다.
- 당연하게도 프리미엄 광고 노출 방식은 검색결과창의 최상단에 배치할 수 있다는 엄청난 강점이 있습니다.
유저에게는 최상단에 배치된 앱이 가장 널리 쓰이고 많은 사람들이 선택한 앱이라는 인식을 무의식적으로 심어주기 때문에 정말 좋은 기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ASA를 사용하면 해당 키워드에서 높은 순위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최소 8-10번째에 배치됩니다.
브랜드 방어에 있어 키워드 순위는 상당히 중요한데, ASA를 사용하면 해당 앱이 순위권에 없어도 높은 위치에 배치할 수 있습니다.
- 해당 키워드의 1위라면, 가장 최상단에 광고가 배치됩니다. 그래서 유저에게 보이는 화면은 ASA의 광고가 최상단, 바로 다음에 똑같은 앱이 배치될 것입니다.
이렇게 간략하게 ASA는 무엇인지, 그 장점은 무엇인지 공유드렸습니다.
다음글에서는 ASA의 종류인 Basic과 Advanced에 대해서 공유드리겠습니다.
'Apple Search Ad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ple Search Ads에서 키워드가 중요한 이유 (0) | 2020.05.06 |
---|---|
Apple Search Ads의 과금 모델, 그리고 사용 케이스 (0) | 2020.05.04 |
Apple Search Ads, 애플 서치 애즈 - Basic / Advanced (0) | 2020.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