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마케팅 (6) 썸네일형 리스트형 [콘텐츠 마케팅] UA Creative를 만들 때 하는 실수들 7가지 범람하는 디지털 광고 시장 속에서 유저를 자사의 프로덕트로 유입시키기란 정말 어렵습니다. 그렇다 보니 정말 저질스러운 광고들도 즐비하고, 프로덕트에 없는 시스템을 미끼로 제시하기도 합니다. 뭐 물론 정말 앞뒤 가리지 않고 성과를 내기 위해서라면 확실히 강하긴 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해치지 않는 선에서, 아니 오히려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높일 수 있는 콘텐츠 마케팅을 하기를 원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UA Creative에 엄청난 공을 들여 좋은 성과가 나길 바랍니다. 하지만 이 세상의 모든 일이 그렇듯 쉽지는 않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우리가 UA Creative를 만들 때 흔히 하게 되는 실수들 7가지에 대해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절대적인 지표라고는 할 수 없겠지만, 크고 작게 캠페인을 .. 전 세계 게임 쇼가 코로나 때문에 줄줄이 취소, 차이나조이는 왜? 전 세계에 코로나가 덮친 피해는 실로 상당합니다. 그럼에도 게임 업계는 특유의 기술력, 수용력으로 다른 산업 분야보다 유연한 대처를 보이고 있습니다. 올 스톱된 다른 스포츠 종목과 비교하여 리그오브레전드 대회 등을 온라인으로 진행하면서 다른 스포츠 종목과는 차별화된 장점을 뽐내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 게임 팬들이 정말 기다리고 있었던 게임 쇼들은 오프라인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그 피해를 피해 가지 못했습니다. 전 세계 최대 게임 쇼라고 할 수 있는 E3는 원래 올해 6월에 행사가 열릴 예정이었지만, 코로나로 인해 결국 취소를 결정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8월에 예정되어 있던 독일의 게임스컴, 9월 예정이었던 도쿄게임쇼, 10월 예정인 프랑스 파리 게임 위크마저 전면 취소 혹은 온라인으로 대체.. 이 광고는 나한테 왜 뜨는 걸까? - 경쟁사 광고의 타겟 알아보기 SNS를 하거나 모바일 게임을 할 때, 우리는 정말 많은 광고에 노출되곤 합니다. 그러다 문득 이런 생각을 하게 됩니다. '이 광고는 나한테 왜 뜨는 걸까?' 정확한 답을 찾기는 어렵지만 어느 정도 알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소개해드리는 방법들은 경쟁사의 타겟을 볼 수도 있지만 두루뭉술한 타겟들이 많아서 완벽히 알 수 있는 방법은 아닙니다. 1. 누르기 싫은 점 세개 누르기 첫번째 방법은 광고마다 떠있는 ··· 이런 점 세 개 표시나 느낌표, 혹은 물음표로 표시되는 버튼을 눌러보는 것입니다. 해당 버튼을 눌러보면 플랫폼 마다 멘트는 다르지만, '이 광고가 표시되는 이유는?'이라는 문구가 나오게 됩니다. 해당 문구를 누르게 되면 위 이미지처럼 광고주가 집행한 타겟에 어떤 부분.. 마케터 vs 사업 PM, 그들의 영토 싸움 통상적으로 퍼블리셔보다 개발사에 가까울 수록, 대규모 개발사보다 소규모 개발사일 수록, 한 사람이 하는 일에 대한 경계가 애매해지기 마련이다. 그렇다보니 자주 부딪치게 되는 포지션 중 하나가 바로 마케팅과 사업이다. 어떻게 보면 명확하다. 마케팅은 돈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일에 가깝고 사업은 돈을 효율적으로 '벌어들이'는 일에 가깝다. 하지만 결국 돈을 잘 써야 잘 벌고 돈을 잘 벌어야 잘 써야하기 때문에 두 포지션은 운명적으로 다툼이 많을 수밖에 없다. 하지만 어찌 되었든 회사 입장에서는 돈을 버는 것이 우선이기 때문에 비교적 사업 PM의 입김이 센 것이 일반적인 것 같다. (마케터라서 하는 생각일지도 모릅니다.) 뭐 어찌됐든 한 쪽은 벌고, 한 쪽은 쓰는 입장이다보니 마케터들은 벌어온 돈을 사용함.. 모바일 게임 마케터로 살아보기 업력이 두터운 분들이 보시면 비웃음을 살지도 모르지만, 그래도 나름 마케팅이란 분야 안에서 많은 일들을 해오면서 마케팅에 대한 제가 가진 생각과 방법을 논의해보고자 합니다. CF, 뮤직비디오, 공연 중계와 같은 광고·상업 영상으로 일을 시작하였고 오프라인 대행사를 잠깐 거치면서 마케팅에 본격적으로 발을 담근 저는 현재 게임 회사에서 콘텐츠 마케팅, 퍼포먼스 마케팅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마케팅을 하는 것에도 많은 분야의 프로덕트가 있지만 게임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 저에겐 모바일 게임을 마케팅하라는 포지션 자체가 도전이었습니다. 하지만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일들이 그렇듯 그 도전의 크기만큼이나 게임 마케팅은 상당한 매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 어떤 마케팅 분야보다 개발자들과 가까이 소통해야 하고 유저.. 모바일 게임 순위 Top 10, 구글 플레이 스토어 분석 2019년 04월 16일 11시 기준 시시각각 변하는 모바일 게임 시장 속에서, 하루에 구글 플레이를 통해서만 약 6000개의 게임이 출시되고 그 중에서 상위권 매출을 한달 이상 유지하는 게임은 약 3개가 되지 않는다. 언젠가 상위권 매출을 유지하는 게임을 운영할 수 있도록 구글 플레이의 매출 순위 Top 10의 ASO(App Store Optimization)를 분석해보았다. 1. 장르 「 1위는 단연 RPG 」 과금 요소가 많은 RPG는 항상 마켓에서 매출 순위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1위가 아니었던 시점이 기억 안 날정도로, 항상 당연하게 그 자리에 있는 '리니지 M'만 보더라도 RPG라는 장르가 우세한 것을 알 수 있다. 10위로 범위를 잡는다 하더라도 '슈퍼셀'의 '브롤스타즈'를 제외하고는 모..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