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0)
[콘텐츠 마케팅] UA Creative를 만들 때 하는 실수들 7가지 범람하는 디지털 광고 시장 속에서 유저를 자사의 프로덕트로 유입시키기란 정말 어렵습니다. 그렇다 보니 정말 저질스러운 광고들도 즐비하고, 프로덕트에 없는 시스템을 미끼로 제시하기도 합니다. 뭐 물론 정말 앞뒤 가리지 않고 성과를 내기 위해서라면 확실히 강하긴 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해치지 않는 선에서, 아니 오히려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높일 수 있는 콘텐츠 마케팅을 하기를 원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UA Creative에 엄청난 공을 들여 좋은 성과가 나길 바랍니다. 하지만 이 세상의 모든 일이 그렇듯 쉽지는 않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우리가 UA Creative를 만들 때 흔히 하게 되는 실수들 7가지에 대해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절대적인 지표라고는 할 수 없겠지만, 크고 작게 캠페인을 ..
SANs / 트래킹 링크를 만들 필요가 없는 플랫폼들의 종류와 분류 Self-Attributing Networks (SANs) 어트리뷰션 툴을 사용하시다 보면 어떤 플랫폼에서는 따로 트래킹 링크를 만들 필요가 없고, 어떤 플랫폼에서는 따로 트래킹 링크를 만들어줘야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그러면 이 두 경우의 차이는 어디서 오는 걸까요? 바로 SANs로 분류되는가 아닌가로 나눌 수 있습니다. SANs는 'Self-Attributing Networks'의 약자로, 의역하면 '직접 기여도를 측정하는 네트워크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로 이런 SANs로 분류되는 플랫폼은 슈퍼 플랫폼(Super Platform)이라 불리는 대형 네트워크 회사들입니다. 이러한 회사들은 본인들의 플랫폼 안에서 자사의 광고로 기여된 데이터들을 직접 수집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갖춘 회사라고 생각하시면 ..
광고 수익화, Ad monetization이란? - 모바일 앱/게임의 수익화 핵심 2017년 즈음을 기준으로 수면 위로 떠올라 점점 대세로 기울고 있는 광고 수익화. 어디까지 알고, 어떻게 진행하고 계신가요? 흔히 애드몬(Admon)이라고 불리는 광고 수익화, Ad monetization은 말 그대로 광고를 통해 얻는 수익을 뜻합니다. 블로그나 사이트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광고부터 모바일 게임에 들어가 있는 광고까지 그 형태는 다양합니다. 저는 그중에서도 모바일 게임에서의 광고 수익화(Admon)를 중점적으로 다뤄보려고 합니다. 우리는 당연하게도 우리의 모바일 게임을 활용하여 더 많은 수익이 나길 바랍니다. 그동안 우리는 모바일 게임으로 얻는 수익 대부분이 인앱 결제(IAP : In-app Purchase)에 한정되어 있었습니다. 유저가 게임에 접속하여 해당 게임의 재화나 아이템을 구..
전 세계 게임 쇼가 코로나 때문에 줄줄이 취소, 차이나조이는 왜? 전 세계에 코로나가 덮친 피해는 실로 상당합니다. 그럼에도 게임 업계는 특유의 기술력, 수용력으로 다른 산업 분야보다 유연한 대처를 보이고 있습니다. 올 스톱된 다른 스포츠 종목과 비교하여 리그오브레전드 대회 등을 온라인으로 진행하면서 다른 스포츠 종목과는 차별화된 장점을 뽐내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 게임 팬들이 정말 기다리고 있었던 게임 쇼들은 오프라인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그 피해를 피해 가지 못했습니다. 전 세계 최대 게임 쇼라고 할 수 있는 E3는 원래 올해 6월에 행사가 열릴 예정이었지만, 코로나로 인해 결국 취소를 결정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8월에 예정되어 있던 독일의 게임스컴, 9월 예정이었던 도쿄게임쇼, 10월 예정인 프랑스 파리 게임 위크마저 전면 취소 혹은 온라인으로 대체..
이 광고는 나한테 왜 뜨는 걸까? - 경쟁사 광고의 타겟 알아보기 SNS를 하거나 모바일 게임을 할 때, 우리는 정말 많은 광고에 노출되곤 합니다. 그러다 문득 이런 생각을 하게 됩니다. '이 광고는 나한테 왜 뜨는 걸까?' 정확한 답을 찾기는 어렵지만 어느 정도 알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소개해드리는 방법들은 경쟁사의 타겟을 볼 수도 있지만 두루뭉술한 타겟들이 많아서 완벽히 알 수 있는 방법은 아닙니다. 1. 누르기 싫은 점 세개 누르기 첫번째 방법은 광고마다 떠있는 ··· 이런 점 세 개 표시나 느낌표, 혹은 물음표로 표시되는 버튼을 눌러보는 것입니다. 해당 버튼을 눌러보면 플랫폼 마다 멘트는 다르지만, '이 광고가 표시되는 이유는?'이라는 문구가 나오게 됩니다. 해당 문구를 누르게 되면 위 이미지처럼 광고주가 집행한 타겟에 어떤 부분..
작은 회사거나 개인일수록 페이스북 광고에 도전해야 하는 이유 - 페이스북만의 운영 내 강점 저번 글에서는 지금이 페이스북 광고를 시도해야 할 적절한 타이밍이라는 점과 페이스북이 가진 대외적 강점에 대해서 공유했었습니다. 오늘은 '작은 회사'이거나 '개인'일수록 페이스북 광고에 도전해봐야 하는 이유를 공유드리면서 직접 운영을 했을 때에 페이스북이 어떤 강점을 갖는지 같이 공유드리려고 합니다. 초기 페이스북 광고는 정말 그야말로 아비규환이었습니다. 수많은 베타 기능들과 시시각각 변하는 기능들은 전문가라고 불리는 마케터들조차도 따라가기 까다로운 존재였습니다. 그러나 이내 데이터가 쌓이고, 본연의 기능에 맞는 모습을 찾아가면서 많이 안정되었습니다. 그때의 인상 + SNS 마케팅이라는 생소함이 만나 페이스북 광고에 대해 아직까지도 부담이 있으신 분들이 꽤나 많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제는 정말 ..
믿거페의 시대, 그럼에도 페이스북 광고를 해야 하는 이유 우리는 흔히 페이스북 광고를 보고 "페이스북 광고는 믿고 거른다."라는 말을 흔하게 합니다. 그만큼 페이스북을 통해 자극적으로 광고된 제품을 실제로 받았을 때 그 기대에 못 미치는 사례가 많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관점을 바꿔보면 어떨까요? 우주에 존재하는 수많은 프로덕트들이 소비자에게까지 전달될 때까지, 과연 페이스북 광고를 비롯한 디지털 마케팅 플랫폼이 없다면 가능했을까요? 그렇게 해서 빛을 보게 된 정말 진흙 속 진주 같은 프로덕트가 없을까요? 관점에 따라 정말 다르겠지만, 저는 아직까지도 페이스북이 프로덕트를 광고하기 위한 최고의 수단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다고 질 낮은 프로덕트들을 과대 광고하는 것을 옹호하는 것은 아닙니다. 저조차도 페이스북 광고로 나오는 제품들을 신뢰하지 않는 스탠스를 가지고..
Apple Search Ads에서 키워드가 중요한 이유 Apple Search Ads는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 검색 기반의 광고입니다. 이것은 여느 다른 검색 광고와 다름없이 질 좋은 키워드를 선별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로 손꼽힐 수 있음을 뜻합니다. 그렇다면 ASA의 키워드는 어떻게 적용하는 것이 좋을까요? 우리는 앱스토어에 접속한 유저의 동기를 기반으로 키워드를 분류하는 것이 가장 좋을 것입니다. 1. 새로운 앱을 찾는 광범위한 검색 ('축구 게임', '키즈 게임', '요리 앱') 당연하게도 이러한 검색 동기의 경우는 새로운 앱을 찾기 위함입니다. 특정한 앱의 이름을 찾는 것이 아닌 카테고리 안에서 새로운 앱을 찾게 됩니다. 이러한 동기를 가지고 있는 유저에게 Apple Search Ads에서 제공하는 최상단 광고는 정말 큰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습니다...